덕트 제작 및 설치/해체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1. 개요
근로자 ○○○(66년생, 남자)는 천장 덕트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한 후 2018년 8월 원 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을 진단받았다.
2.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근로자 ○○○와의 면담 당시의 진술에 의하면, 근로자 ○○○는 16세 때인 1982년경에 A 사업장에 입사하여 1987년경까지 약 5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환기와 관련한 덕트를 제 작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한다. 1987년경부터 1991년경까지 약 3년간은 B사업 장이라는 업체에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후에는 특정 업체에 소속되지 않고 일용직 형태의 덕트공으로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 관련 작업을 수행하였고, 2013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C사업장 및 2017년부터 현재까지는 D사업장에서 덕트공으로 근 무하였다고 진술하였다.
근로자 ○○○가 주로 작업을 수행하였던 건설 현장은 주로 아파트 및 대형 건물이었으며, 근로자 ○○○에 의하면 건설 현장의 종류에 따라 작업의 비율은 신축 건물이 약 70% 정도 에 해당하고, 리모델링 건물이 약 30% 정도에 해당한다고 진술하였다. 덕트의 제작은 아연으 로 이루어진 금석판(함석)을 절곡기를 이용해 구부리고 재단한 이후 조립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덕트를 건설 현장에서 각종 드릴을 사용하여 덕트 지지대를 설치하고, 설계 도면에 맞추어 덕트를 올려 배치한 이후에 덕트의 이음새 및 프렌지를 용접, 볼트, 패킹 등을 통하여 연결하고 마감이 필요한 경우 테이프를 통하여 마감한다. 덕트의 공기 도입 부위인 디퓨저는 천장을 전부 마감한 이후 설치된 천장 마감재를 디퓨저 크기에 맞게 잘라내고, 여기에 디퓨 저를 설치하면, 덕트의 설치 공사를 마감하게 된다. 리모델링 건물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 중 일부 과거에 설치된 덕트를 해체하는 작업을 하 는 경우도 있는데, 작업은 주로 천장의 상부에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온재를 먼저 제거하 고, 덕트의 이음새 및 프렌지를 파워렌치 또는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탈거하여 탈거된 덕 트를 천장 하부로 내리게 된다. 건설근로자 경력증명서에서는 2007년에 수행한 153일의 근무경력 중 52일의 닥트공이 확 인되면서 나머지 같은 공사 현장의 101일은 종사 직종이 확인되지 않으며, 고용보험 일용근 로내역서에서도 2007년 4월 이후 각종 공사 현장에서 총 207일의 일용근무이력이 확인된다.
3. 질병력
3-1. 개인력
근로자 ○○○의 병역은 소집 면제에 해당하였다. 원발성 폐암의 진단 당시의 A대학병원 의무기록에 의하면 과거 하루 한 갑씩 35년간 흡연 하였다(총 35갑년).
3-2. 원발성 폐암의 발병 및 경과
외부 병원에서 건강검진으로 실시한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어 2018 년 7월 12일에 A대학병원에 내원하였고, 7월 26일에 촬영한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우폐 상엽에서 1.3 × 1.1 ㎝ 크기의 결절과 함께 우측 상하부 기관주변부 림프절의 크기가 증가 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후 B대학병원에서 실시한 기관지 내시경검사(8. 10)를 통한 우폐상 엽의 기관지 세척액 세포병리검사에서 음성 소견이었으나, 양전자 방출단층영상(8. 10)에서 우폐상엽으로 1.6 ㎝ 크기의 섭취가 증가된 결절이 관찰되었다. 8월 31일에는 흉강경을 통한 우폐상엽의 쐐기 절제술 및 종격동 림프절 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조직검사 상 상하부 기관주 변부 림프절을 침범한 선암이 확인되어 원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로 확진하였 으며, 이후 동시적 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중 이다.
4. 업무 관련성
근로자 ○○○는 16세 때인 1982년경부터 2018년 8월까지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 에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한 후 2018년 8월 원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을 진단받았다.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하였다는 근로자 ○○ ○의 진술 중 자료에서는 3년 7개월 만이 확인되는데, 건설근로자 경력증명서에서 확인되는 153일의 근무 경력 중 종사 직종에서 닥트공만 확인되고, 근로자 ○○○가 마지막으로 근무 한 성진 ENG의 대표자에 의하면, 근로자 ○○○랑 약 10년 동안 건설 현장에서 하도급으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함께 하였으며, 약 30년 이상 근로자 ○○○가 덕트공으로 근무 한 것으로 알고 있다는 보험가입자 의견서를 고려하면, 근로자 ○○○의 진술은 신뢰할 만하 다고 판단된다. 근로자 ○○○에 의하면, 덕트의 공기 도입부에 해당하는 디퓨저를 설치하는 작업은 천장 의 마감재가 마감되면, 디퓨저의 크기에 맞게 천장 마감재를 주로 톱으로 잘라내어 설치한다 고 하였으며,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천장 마감재를 제거하거나 천장 마감재를 뚫고 천장 마감재 위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이러한 경우, 천장 마감재 에 석면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천장재 및 내부 환기설비 해 체 등의 개 ․ 보수 공사에 따른 석면 노출 실태를 보고한 연구 1) 에서도 천장재 4개 중 2개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근로자 ○○○는 덕트 설치 작업 중 천장 마감재를 가 공하면서 석면에 노출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근로자 ○○○가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덕트에 퇴적된 먼지에 많이 노출되었다고 하였는데, 주요 작업은 아니지만, 덕트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보온재 및 덕 트의 프렌지를 제거한 이후에 덕트를 탈거한다고 하였다. D사업장을 현장 방문하였을 당시에 사용되는 보온재는 유리섬유였으며, D사업장의 대표자에 의하면 과거에도 보온재로 유리섬유 를 사용해 왔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과거에 일부 건축물에서는 덕트 외관에 석면이 함유된 보온재로 보온 처리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과거 직업환경연구원에서 역학조사 2) 의 일환으로 현장 방문을 한 결과 천장에 설치된 덕트의 외관에 석고 보온재가 입혀져 있었고, 사업장에 서 보유하고 있는 석고 보온재 분석결과 자료에서도 석면 함량이 40%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하여,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천장재 및 내부 환기설비 해체 등의 개 ․ 보수 공사에 따른 석면 노출 실태를 보고한 연구 1) 에서 20개의 퇴적분진 시료 중 10개에서 백석면이 함유 되어 있었으며, 덕트 플랜지에 팩킹용으로 사용되는 가스켓 13개를 조사한 결과 13개의 시료 모두에서 백석면이 확인되었다. 지하철 환기 덕트의 해체 작업 시에 석면의 노출 평가를 발 표한 연구 3) 에서도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막을 설치하고 물을 분사하면서 작업환 경을 측정했음에도 불구하고, 33명의 덕트 해체 작업자에 대한 석면 농도의 기하 평균이 0.021 개/㎠(기하 표준편차 2.4)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 ○○○는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 서 덕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석면에 노출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면, 근로자 ○○○는 원발성 폐암을 진단받기 약 36년 전인 1982년경 부터 2018년 8월까지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공으로 근무하면서 천장 마감재 관련 작업을 수행하고,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덕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하면서 석 면에 장기간 노출된 후 발생한 근로자 ○○○의 원발성 폐암은 업무상 질병이라고 판단된다.
1) 유찬영, 노재훈, 정호근, 김치년.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설비 공사에 따른 석면의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 한 국산업위생학회지 2002;12(3) 2) 공문번호 : 임상연구부-1017, 회신일(2013. 2. 26) 3) 정지연, 유장진, 장재길, 이봉규, 김봉년, 김광종. 환기덕트 해체작업시 석면 및 분진의 노출평가 및 관리방안. 대한설비공학회 및 기타 간행물 2005:549-557
5. 결론
① 2018년 8월 원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이 확진되었고,
② 폐암을 진단받기 약 36년 전인 1982년경부터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공 으로 근무하면서 천장 마감재 관련 작업 및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덕트의 설치와 해체 작 업을 수행하면서 석면에 장기간 노출되었는데,
③ 이러한 석면은 강력한 폐암 발암물질이다.
덕트 제작 및 설치/해체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1. 개요
근로자 ○○○(66년생, 남자)는 천장 덕트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한 후 2018년 8월 원 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을 진단받았다.
2.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근로자 ○○○와의 면담 당시의 진술에 의하면, 근로자 ○○○는 16세 때인 1982년경에 A 사업장에 입사하여 1987년경까지 약 5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환기와 관련한 덕트를 제 작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한다. 1987년경부터 1991년경까지 약 3년간은 B사업 장이라는 업체에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후에는 특정 업체에 소속되지 않고 일용직 형태의 덕트공으로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 관련 작업을 수행하였고, 2013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C사업장 및 2017년부터 현재까지는 D사업장에서 덕트공으로 근 무하였다고 진술하였다.
근로자 ○○○가 주로 작업을 수행하였던 건설 현장은 주로 아파트 및 대형 건물이었으며, 근로자 ○○○에 의하면 건설 현장의 종류에 따라 작업의 비율은 신축 건물이 약 70% 정도 에 해당하고, 리모델링 건물이 약 30% 정도에 해당한다고 진술하였다. 덕트의 제작은 아연으 로 이루어진 금석판(함석)을 절곡기를 이용해 구부리고 재단한 이후 조립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덕트를 건설 현장에서 각종 드릴을 사용하여 덕트 지지대를 설치하고, 설계 도면에 맞추어 덕트를 올려 배치한 이후에 덕트의 이음새 및 프렌지를 용접, 볼트, 패킹 등을 통하여 연결하고 마감이 필요한 경우 테이프를 통하여 마감한다. 덕트의 공기 도입 부위인 디퓨저는 천장을 전부 마감한 이후 설치된 천장 마감재를 디퓨저 크기에 맞게 잘라내고, 여기에 디퓨 저를 설치하면, 덕트의 설치 공사를 마감하게 된다. 리모델링 건물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 중 일부 과거에 설치된 덕트를 해체하는 작업을 하 는 경우도 있는데, 작업은 주로 천장의 상부에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온재를 먼저 제거하 고, 덕트의 이음새 및 프렌지를 파워렌치 또는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탈거하여 탈거된 덕 트를 천장 하부로 내리게 된다. 건설근로자 경력증명서에서는 2007년에 수행한 153일의 근무경력 중 52일의 닥트공이 확 인되면서 나머지 같은 공사 현장의 101일은 종사 직종이 확인되지 않으며, 고용보험 일용근 로내역서에서도 2007년 4월 이후 각종 공사 현장에서 총 207일의 일용근무이력이 확인된다.
3. 질병력
3-1. 개인력
근로자 ○○○의 병역은 소집 면제에 해당하였다. 원발성 폐암의 진단 당시의 A대학병원 의무기록에 의하면 과거 하루 한 갑씩 35년간 흡연 하였다(총 35갑년).
3-2. 원발성 폐암의 발병 및 경과
외부 병원에서 건강검진으로 실시한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어 2018 년 7월 12일에 A대학병원에 내원하였고, 7월 26일에 촬영한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우폐 상엽에서 1.3 × 1.1 ㎝ 크기의 결절과 함께 우측 상하부 기관주변부 림프절의 크기가 증가 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후 B대학병원에서 실시한 기관지 내시경검사(8. 10)를 통한 우폐상 엽의 기관지 세척액 세포병리검사에서 음성 소견이었으나, 양전자 방출단층영상(8. 10)에서 우폐상엽으로 1.6 ㎝ 크기의 섭취가 증가된 결절이 관찰되었다. 8월 31일에는 흉강경을 통한 우폐상엽의 쐐기 절제술 및 종격동 림프절 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조직검사 상 상하부 기관주 변부 림프절을 침범한 선암이 확인되어 원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로 확진하였 으며, 이후 동시적 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중 이다.
4. 업무 관련성
근로자 ○○○는 16세 때인 1982년경부터 2018년 8월까지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 에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한 후 2018년 8월 원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을 진단받았다.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하였다는 근로자 ○○ ○의 진술 중 자료에서는 3년 7개월 만이 확인되는데, 건설근로자 경력증명서에서 확인되는 153일의 근무 경력 중 종사 직종에서 닥트공만 확인되고, 근로자 ○○○가 마지막으로 근무 한 성진 ENG의 대표자에 의하면, 근로자 ○○○랑 약 10년 동안 건설 현장에서 하도급으로 덕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을 함께 하였으며, 약 30년 이상 근로자 ○○○가 덕트공으로 근무 한 것으로 알고 있다는 보험가입자 의견서를 고려하면, 근로자 ○○○의 진술은 신뢰할 만하 다고 판단된다. 근로자 ○○○에 의하면, 덕트의 공기 도입부에 해당하는 디퓨저를 설치하는 작업은 천장 의 마감재가 마감되면, 디퓨저의 크기에 맞게 천장 마감재를 주로 톱으로 잘라내어 설치한다 고 하였으며,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천장 마감재를 제거하거나 천장 마감재를 뚫고 천장 마감재 위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이러한 경우, 천장 마감재 에 석면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천장재 및 내부 환기설비 해 체 등의 개 ․ 보수 공사에 따른 석면 노출 실태를 보고한 연구 1) 에서도 천장재 4개 중 2개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근로자 ○○○는 덕트 설치 작업 중 천장 마감재를 가 공하면서 석면에 노출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근로자 ○○○가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덕트에 퇴적된 먼지에 많이 노출되었다고 하였는데, 주요 작업은 아니지만, 덕트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보온재 및 덕 트의 프렌지를 제거한 이후에 덕트를 탈거한다고 하였다. D사업장을 현장 방문하였을 당시에 사용되는 보온재는 유리섬유였으며, D사업장의 대표자에 의하면 과거에도 보온재로 유리섬유 를 사용해 왔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과거에 일부 건축물에서는 덕트 외관에 석면이 함유된 보온재로 보온 처리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과거 직업환경연구원에서 역학조사 2) 의 일환으로 현장 방문을 한 결과 천장에 설치된 덕트의 외관에 석고 보온재가 입혀져 있었고, 사업장에 서 보유하고 있는 석고 보온재 분석결과 자료에서도 석면 함량이 40%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하여,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천장재 및 내부 환기설비 해체 등의 개 ․ 보수 공사에 따른 석면 노출 실태를 보고한 연구 1) 에서 20개의 퇴적분진 시료 중 10개에서 백석면이 함유 되어 있었으며, 덕트 플랜지에 팩킹용으로 사용되는 가스켓 13개를 조사한 결과 13개의 시료 모두에서 백석면이 확인되었다. 지하철 환기 덕트의 해체 작업 시에 석면의 노출 평가를 발 표한 연구 3) 에서도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막을 설치하고 물을 분사하면서 작업환 경을 측정했음에도 불구하고, 33명의 덕트 해체 작업자에 대한 석면 농도의 기하 평균이 0.021 개/㎠(기하 표준편차 2.4)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 ○○○는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 서 덕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석면에 노출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면, 근로자 ○○○는 원발성 폐암을 진단받기 약 36년 전인 1982년경 부터 2018년 8월까지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공으로 근무하면서 천장 마감재 관련 작업을 수행하고,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덕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하면서 석 면에 장기간 노출된 후 발생한 근로자 ○○○의 원발성 폐암은 업무상 질병이라고 판단된다.
1) 유찬영, 노재훈, 정호근, 김치년.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설비 공사에 따른 석면의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 한 국산업위생학회지 2002;12(3) 2) 공문번호 : 임상연구부-1017, 회신일(2013. 2. 26) 3) 정지연, 유장진, 장재길, 이봉규, 김봉년, 김광종. 환기덕트 해체작업시 석면 및 분진의 노출평가 및 관리방안. 대한설비공학회 및 기타 간행물 2005:549-557
5. 결론
① 2018년 8월 원발성 폐암(선암, pT 1b N 2 M 0 , Stage ⅢA)이 확진되었고,
② 폐암을 진단받기 약 36년 전인 1982년경부터 약 36년 동안 각종 건설 현장에서 덕트공 으로 근무하면서 천장 마감재 관련 작업 및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서 덕트의 설치와 해체 작 업을 수행하면서 석면에 장기간 노출되었는데,
③ 이러한 석면은 강력한 폐암 발암물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