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1. 개요
근로자 ○○○(66년생, 남자)은 27세 때인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용접작업 등을 수행한 후 2017년 1월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을 진단받았다(54세).
2.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근로자 ○○○은 27세 때인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여러 업체에서 용접작업을 수 행한 후 2017년 1월에 A대학병원에서 폐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의 진술에 따르면 22세 때인 1988년 3월에 A사업장 A공장에 입사하여 A공 장 및 B공장에서 5년 3개월간 근무하였는데, 주물펌프, 주물모터케이스 등의 드릴 작업 및 절삭작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고 한다. 1994년 3월부터 10개월간 근무한 B사업장에서는 건설공사 진행 중 파손된 다양한 건설 장비를 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주로 용접/절단 /사상 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한다. 이후 파이프 등을 제조하는 여러 업체에서 주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고 진술하였다.
근로자 ○○○이 마지막으로 근무하였던 C사업장은 국내 외 선박회사들의 1차 밴드(band) 로써 Davit crane(소형 크레인), Capstan(선박 내 로프 당기는 부품) 같은 선박 내 데크 의장 품을 취급하는 소규모 업체이다. 선박회사와의 계약을 통해 일을 수주 받는데, 도면이 선박회 사에서 내려오면 자재를 구매하여 절단/취부/용접/사상/쇼트/도장/검사 순서로 작업하게 된다. 위 작업 중 쇼트, 도장작업은 외주로 진행하며, C사업장에서는 주로 취부/용접/사상 작업을 수행한다. 최종 제품은 약 2달에 1회 선급검사를 진행하는데 대부분은 한국선급(KR)에서 진 행하며 이 때 가우징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근로자 ○○○이 C사업장에서 담당한 업무는 용 접작업으로, 용접(CO2)을 하루 8시간 근무 중 6시간 정도 수행하였다고 한다. 회사 내 용접 공은 1명으로 모든 용접작업을 맡아서 수행하였으며, 간헐적으로 용접 외 작업도 수행하였다 고 한다. C사업장에서 취급하는 데크 의장품은 대부분 일반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 며(90%) 선급 요구 시 특수강(SM490A-carbon steel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10%).
3. 질병력
3-1. 개인력
근로자 ○○○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21세 때인 1988년 3월부터 5년 3개월간 A사업장 에서 근무를 하였다. 1994년 3월부터 10개월간 건설공사 현장에서 건설장비 수리 업무를 수행하다가 군 복무를 마친 후 1997년 1월부터는 여러 업체 소속으로 선박 의장품의 용접작업 을 수행하였다.
담배는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1).
3-2. 원발성 폐암의 발병 및 경과
A대학병원 의무기록에 따르면 검진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폐암이 의심되는 소견이 있어 추 가적인 검사를 위해 2017년 1월 20일에 외래를 방문하였다. 외래에서 촬영한 흉부 컴퓨터단 층영상에서 좌폐하엽에 2.8 ㎝ 크기의 고립성 종괴가 관찰되었는데, 양전자방출단층영상(1. 20)에서 좌폐하엽 종괴의 대사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에 1월 25일에 입원한 후 1월 26일에 시행한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기관지내 병변은 없었으나 기관지내시경을 통해 종격동 림프 절 생검(2R, 7, 4R, 4L)을 실시한 결과 전이성 선암이 확인2)되었다. 이에 뇌 자기공명영상(1. 25) 소견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으로 확진하였다.
폐암이 확진된 이후 2월 14일부터 동시 항암 화학/방사선(66 Gy/33회) 치료를 시작하였는 데, 4월 19일에 추적 촬영한 흉부 영상에서 좌폐하엽 종괴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이에 5월 초부터 요양병원에서 입원치료를 하다가 6월 28일에 추적 촬영한 흉부 영상에서는 이전 영 상(4. 19)과 비교하여 양쪽 종격동에 새로운 경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에 방사선 폐렴으로 진단하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다가 6월 30일부터는 보조적 항암화학 치료(Gemcitabine/ Paclitaxel)를 시작하였다.
4. 업무 관련성
근로자 ○○○은 27세 때인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용접작업 등을 수행한 후 2017년 1월 A대학병원에서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에 따르면 21세 때인 1988년 3월부터 5년 3개월간 A사업장 A공장 및 B공 장에서 펌프 및 모터케이스의 드릴 작업 및 절삭작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고 진술하였는 데, 용해로 작업자나 용접공과는 달리 드릴작업, 절삭작업 등에서는 폐암 발생 위험이 높지 않다.
1) A대학병원 2017년 1월 20일 외래초진기록지에서 비흡연으로 기록
2) TTF-1(+)
한편, 근로자 ○○○은 27세 때인 1994년 3월에 B사업장에 입사하여 파손된 건설 장비를 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는 폐암 발생 위험이 높지 않은 절단/사상 작 업도 수행하지만,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용접작업도 이루어진다. 근로자 ○○○은 B사업장 에서 10개월간 근무하다가 1997년 1월부터 D사업장, E사업장, F사업장, G사업장, H사업장, I사업장, C사업장 등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의장품을 취급하는 업체에서 근무하였는데, 마지막 으로 근무하였던 C사업장에서 전문 용접사로 작업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이전에 근무하였던 업체에서도 역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근로자 ○○○은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폐암이 발생하기 23년 전부터 17년 8개월간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용접작업 을 수행한 후 발생한 근로자 ○○○의 폐암은 업무상 질병이라고 판단된다.
5. 결론
① 2017년 1월 27일에 조직검사를 통해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으로 확진 되었는데,
② 21세 때인 1988년 3월부터 5년 3개월간 A사업장 A공장 및 B공장에서 수행한 드릴/절 삭 작업은 폐암 발생 위험이 높지 않는 반면,
③ 폐암이 발생하기 23년 전부터 17년 8개월간 건설 장비 수리(10개월) 및 선박 의장품 제조(16년 10개월)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는데,
④ 용접흄에 노출되는 용접공은 폐암 발생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용접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1. 개요
근로자 ○○○(66년생, 남자)은 27세 때인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용접작업 등을 수행한 후 2017년 1월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을 진단받았다(54세).
2.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근로자 ○○○은 27세 때인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여러 업체에서 용접작업을 수 행한 후 2017년 1월에 A대학병원에서 폐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의 진술에 따르면 22세 때인 1988년 3월에 A사업장 A공장에 입사하여 A공 장 및 B공장에서 5년 3개월간 근무하였는데, 주물펌프, 주물모터케이스 등의 드릴 작업 및 절삭작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고 한다. 1994년 3월부터 10개월간 근무한 B사업장에서는 건설공사 진행 중 파손된 다양한 건설 장비를 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주로 용접/절단 /사상 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한다. 이후 파이프 등을 제조하는 여러 업체에서 주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고 진술하였다.
근로자 ○○○이 마지막으로 근무하였던 C사업장은 국내 외 선박회사들의 1차 밴드(band) 로써 Davit crane(소형 크레인), Capstan(선박 내 로프 당기는 부품) 같은 선박 내 데크 의장 품을 취급하는 소규모 업체이다. 선박회사와의 계약을 통해 일을 수주 받는데, 도면이 선박회 사에서 내려오면 자재를 구매하여 절단/취부/용접/사상/쇼트/도장/검사 순서로 작업하게 된다. 위 작업 중 쇼트, 도장작업은 외주로 진행하며, C사업장에서는 주로 취부/용접/사상 작업을 수행한다. 최종 제품은 약 2달에 1회 선급검사를 진행하는데 대부분은 한국선급(KR)에서 진 행하며 이 때 가우징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근로자 ○○○이 C사업장에서 담당한 업무는 용 접작업으로, 용접(CO2)을 하루 8시간 근무 중 6시간 정도 수행하였다고 한다. 회사 내 용접 공은 1명으로 모든 용접작업을 맡아서 수행하였으며, 간헐적으로 용접 외 작업도 수행하였다 고 한다. C사업장에서 취급하는 데크 의장품은 대부분 일반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 며(90%) 선급 요구 시 특수강(SM490A-carbon steel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10%).
3. 질병력
3-1. 개인력
근로자 ○○○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21세 때인 1988년 3월부터 5년 3개월간 A사업장 에서 근무를 하였다. 1994년 3월부터 10개월간 건설공사 현장에서 건설장비 수리 업무를 수행하다가 군 복무를 마친 후 1997년 1월부터는 여러 업체 소속으로 선박 의장품의 용접작업 을 수행하였다.
담배는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1).
3-2. 원발성 폐암의 발병 및 경과
A대학병원 의무기록에 따르면 검진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폐암이 의심되는 소견이 있어 추 가적인 검사를 위해 2017년 1월 20일에 외래를 방문하였다. 외래에서 촬영한 흉부 컴퓨터단 층영상에서 좌폐하엽에 2.8 ㎝ 크기의 고립성 종괴가 관찰되었는데, 양전자방출단층영상(1. 20)에서 좌폐하엽 종괴의 대사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에 1월 25일에 입원한 후 1월 26일에 시행한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기관지내 병변은 없었으나 기관지내시경을 통해 종격동 림프 절 생검(2R, 7, 4R, 4L)을 실시한 결과 전이성 선암이 확인2)되었다. 이에 뇌 자기공명영상(1. 25) 소견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으로 확진하였다.
폐암이 확진된 이후 2월 14일부터 동시 항암 화학/방사선(66 Gy/33회) 치료를 시작하였는 데, 4월 19일에 추적 촬영한 흉부 영상에서 좌폐하엽 종괴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이에 5월 초부터 요양병원에서 입원치료를 하다가 6월 28일에 추적 촬영한 흉부 영상에서는 이전 영 상(4. 19)과 비교하여 양쪽 종격동에 새로운 경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에 방사선 폐렴으로 진단하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다가 6월 30일부터는 보조적 항암화학 치료(Gemcitabine/ Paclitaxel)를 시작하였다.
4. 업무 관련성
근로자 ○○○은 27세 때인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용접작업 등을 수행한 후 2017년 1월 A대학병원에서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에 따르면 21세 때인 1988년 3월부터 5년 3개월간 A사업장 A공장 및 B공 장에서 펌프 및 모터케이스의 드릴 작업 및 절삭작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고 진술하였는 데, 용해로 작업자나 용접공과는 달리 드릴작업, 절삭작업 등에서는 폐암 발생 위험이 높지 않다.
1) A대학병원 2017년 1월 20일 외래초진기록지에서 비흡연으로 기록
2) TTF-1(+)
한편, 근로자 ○○○은 27세 때인 1994년 3월에 B사업장에 입사하여 파손된 건설 장비를 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는 폐암 발생 위험이 높지 않은 절단/사상 작 업도 수행하지만,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용접작업도 이루어진다. 근로자 ○○○은 B사업장 에서 10개월간 근무하다가 1997년 1월부터 D사업장, E사업장, F사업장, G사업장, H사업장, I사업장, C사업장 등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의장품을 취급하는 업체에서 근무하였는데, 마지막 으로 근무하였던 C사업장에서 전문 용접사로 작업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이전에 근무하였던 업체에서도 역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근로자 ○○○은 1994년 3월부터 17년 8개월간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폐암이 발생하기 23년 전부터 17년 8개월간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용접작업 을 수행한 후 발생한 근로자 ○○○의 폐암은 업무상 질병이라고 판단된다.
5. 결론
① 2017년 1월 27일에 조직검사를 통해 원발성 폐암(선암, T1bN2M0, stageIIIb)으로 확진 되었는데,
② 21세 때인 1988년 3월부터 5년 3개월간 A사업장 A공장 및 B공장에서 수행한 드릴/절 삭 작업은 폐암 발생 위험이 높지 않는 반면,
③ 폐암이 발생하기 23년 전부터 17년 8개월간 건설 장비 수리(10개월) 및 선박 의장품 제조(16년 10개월)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는데,
④ 용접흄에 노출되는 용접공은 폐암 발생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